Economy

중국의 기준금리 인하와 경제 부양책: 중국 증시 반등의 조짐과 향후 전망

두번벌자 2024. 10. 21. 14:26
728x90

중국의 경제 중심지 상해
중국의 경제 중심지 상해 / 출처 pixabay

 

최근 중국 정부가 **대출우대금리(LPR)**를 추가로 인하하면서, 중국 증시가 다시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 경제가 목표 성장률인 5% 달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금리 인하와 같은 정부의 경기 부양책이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국의 LPR 인하중국 증시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향후 예상되는 추가 부양책을 살펴보겠습니다.

 


1. 중국 대출우대금리(LPR) 인하: 배경과 내용

2023년 10월 21일, 중국 정부5년물 LPR을 **3.85%에서 3.6%**로, 1년물 LPR을 **3.35%에서 3.1%**로 각각 인하했습니다. 이는 3개월 만의 추가 금리 인하로, 지난 7월 금리 인하 이후 경제 성장률이 **4.6%**에 그치는 등 경기 부양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LPR 인하의 주요 배경

  • 경제성장률 둔화: 중국의 3분기 경제 성장률이 **4.6%**로, 정부 목표인 **5%**에 미치지 못하자 추가 경기 부양 필요성이 제기되었습니다.
  • 주택 시장 활성화: 5년물 LPR 인하는 주택담보대출에 영향을 미쳐 가계의 이자 부담 감소소비 촉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유동성 확대: 지급준비율 인하와 함께 LPR 인하가 유동성을 공급하며, 중국 경제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 중국 증시 반등 조짐과 시장 반응

금리 인하 발표 후, 중국 상해종합지수선전종합지수는 각각 0.82%, 1.95% 상승했습니다. CSI 300 지수0.85% 상승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홍콩 항셍지수는 소폭 하락하며 지역별로 다소 상반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시장 반응과 주가 상승 기대

  • 이미 선반영된 금리 인하: 이번 금리 인하는 이미 시장에서 예상되었기 때문에, 일부에서는 이전 경기 부양책 발표 당시만큼 큰 반응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 자사주 매입 효과: 상해와 선전 거래소에 상장된 23개 회사가 자사주 매입을 위해 2조 1169억 원 규모의 대출을 진행하면서, 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 추가 부양책 가능성: 주가 반응이 미지근할 경우, 중국 당국이 더욱 강력한 경기 부양책을 내놓을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3.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LPR 인하는 중국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가계 대출 부담을 줄이고 소비 증가를 촉진함으로써 내수 경제가 활성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소비 촉진과 경제 활성화

  • 가계 이자 부담 감소: 5년물 LPR 인하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내려가면서, 가계의 이자 부담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소비 지출이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 경기 회복 기대: 경기 부양책이 실질적으로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면, 중국 경제는 점차 회복 국면에 들어설 가능성이 있습니다.

4. 향후 전망: 추가 부양책 가능성

중국 정부는 주가 부양을 위해 다양한 정책 도구를 사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LPR 인하가 주가에 즉각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면, 더 강력한 경기 부양책이 나올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추가 부양책 시나리오

  • 금리 추가 인하: 중국 정부는 경제 성장률이 목표에 미치지 못할 경우, 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수 있습니다.
  • 유동성 확대: 추가적인 지급준비율 인하대규모 자산 매입 프로그램을 통해 시장에 유동성을 더 공급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주택 시장 활성화: 부동산 시장을 타겟으로 한 추가 부양책을 통해 주택 수요를 더욱 촉진할 수 있습니다.

결론: 중국 LPR 인하가 경제에 미칠 장기적 영향

중국의 LPR 인하금융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가계 대출기업 자금 조달 비용을 낮추어 경제 회복을 도모하는 정책입니다. 다만 이번 금리 인하가 중국 증시에 즉각적으로 큰 반응을 일으키지 않은 점을 감안할 때, 중국 정부는 앞으로 더 강력한 경기 부양책을 발표할 가능성이 큽니다. 중국 경제가 내수 촉진과 성장률 회복을 이뤄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728x90